넷플릭스 다큐 5

넷플릭스 다큐ㅣ소셜 딜레마ㅣSNS 중독 벗어나기

랑도 연결되는 내용이다. 고객을 user라고 부르는 건 마약 산업이랑 소프트웨어 산업 뿐이라는 것도 똑같이 언급됨 ㅋㅋ ​ 감시, 중독, 가짜뉴스 데이터가 힘이다 법이 기술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함 ​ 대책 : 알림 끄기 반대 의견 듣기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으니까 점점 확증편향 심해짐) 최초작성일 : 2021. 9. 3.

영상기록 2022.05.13

인사이드 빌게이츠ㅣ넷플릭스 다큐ㅣDecoding Bill Gatesㅣ2019ㅣ3부작

빌게이츠는 무슨 생각을 하고 사나 궁금해서 봤다. 잘 만든 다큐인지는 모르겠다. 너무 빌게이츠를 긍정적으로만 묘사하고 주제도 뒤죽박죽임 (빌게이츠의 과거와 사생활과 그가 주력하고 있는 사회문제를 끊임없이 왔다갔다하는데 별로 자연스럽지 않음) 그리고 이 다큐에서는 빌과 멀린다가 인생의 훌륭한 동반자/신뢰하는 대상으로 나오지만, 지난해 둘은 이혼했다. 다큐가 나온지 불과 2년 후다. 진짜 이유는 둘만 알겠지. 굳이 남은 점을 꼽자면 뇌를 쓰자, 공부를 하자, 책을 읽자, 적합한(?) 사람들을 곁에 두거나 찾자 1부 화장실, 하수처리시설 2부 소아마비 3부 에너지

영상기록 2022.01.27

로버트 라이시의 자본주의를 구하라ㅣ넷플릭스 경제 다큐ㅣ상위 1%의 독주를 멈추게 하는 법

삘 받아서 넷플릭스 경제 다큐 한 편 더 봤다. 이건 2017년작이다. 한 편 짜리고 러닝타임은 1시간 13분. 평소에 미국 경제나 현대 자본주의 작동방식, 경제적 불평등에 관심이 많다면 재밌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로버트 라이시라는 경제학자가 이야기를 끌어가는 다큐멘터리인데, 이 분 나는 이번에 처음 알았는데 인턴을 케네디 밑에서 하고 학생 때 빌 클린턴이랑 친구고 힐러리랑 친구여서 둘을 소개해주고 나중에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 역임한 완전 정치계 인싸다. 미국 행정부에 관여한지 50년 됨. 그런데 굉장히 대중친화적인 마인드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 주요 내용은 - 게임의 룰을 은밀하게 지네 마음대로 바꾼다, 행정부 내에서 입법부 내에서 - 중산층의 위기..를 얘기하며 노동부 장관을 사퇴한 게..

영상기록 2021.11.05

익스플레인: 돈을 해설하다ㅣ넷플릭스 경제 다큐 추천ㅣ호로록 보기 좋은 2021년 최신작

라는 넷플릭스 경제 다큐멘터리를 보았다. 20분 짜리 5부작이라 금방 본다. 그래픽 퀄리티도 좋고 성우도 매화 바뀌고 편집 호흡도 빠르게 잘 만들었다. 하나 하나 주제도 흥미롭고 2021년 올해 나온 다큐라서 프레쉬하다. 1.벼락부자 되는 법 사람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사기 수법 ‘폰지’ 최근에 국내의 머지포인트 사태도 결과적으로는 폰지 사기가 된 것 지금 시대에서는 크립토 신기술을 이용한 사기에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함 그리고 돈 버는 방법을 알려줄 테니 돈을 내라..는 식의 수법에도 넘어가지 않아야겠다 (요즘 성행하는 책 홍보는 사기라고 보긴 힘들고 그것을 넘는 나의 지불을 요구할 때 의심하자) 호구 당하지 않으려면 정신 바짝 차리고 살아야 되는 건 맞음 2.신용카드 빚은 내가 이용해야지, 빚에 이용 당..

영상기록 2021.11.04

인사이드 잡 (Inside Job)ㅣ2008 금융위기 다큐멘터리ㅣ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는 경제 다큐

예전에 한 번 봤지만 책을 읽고 다시 한 번 더 봤다. 역시 글로 읽고 영상으로 다시 보니 더 많은 게 보이고 새로운 게 느껴진다. 무분별한 규제 완화 회전문 인사 (규제 기구와의 유착) 금융업의 비대화 금융 시스템의 복잡화 탐욕 스트립쇼, 매춘, 마약 feat. 법카 경제학계 매수 양극화 “Wall Street Government” 2001년 금융업을 지배한 5개 투자은행 :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리먼브라더스, 메릴린치, 베어스턴스 2개 금융기업 : 씨티그룹, JP모건 3개 증권회사 : AIG, MBIA, AMBAC 3개 신용평가사 : 무디스, S&P, FITCH 이들이 금융업계의 유동성 먹이사슬을 이룬다.

영상기록 2021.11.01